탈탐사를 위한 국제적 경쟁과 협력, 북한의 우주활동 실태 > 과학기술논문 | 엔케이지식인연대

탈탐사를 위한 국제적 경쟁과 협력, 북한의 우주활동 실태

  • profile_image
    관리
    • 0건
    • 679회
    • 21-06-13 09:00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탈탐사를 위한 국제적 경쟁과 협력, 북한의 우주활동 실태

(사)NK지식인연대 대표 김흥광

8얼 5일 남한의 최초의 달 궤도 위성이 우주로 힘차게 날아올랐습니다. 지구궤도에서 달궤도로 가는 중간지점인 전이궤도까지 완벽히 진입했고 내년에는 이름 그대로 달에 대한 모든 것을 누리며 샅샅이 탐사를 할 예정인데요. 오늘시간 달탐사기술에 대하여 지구촌 여러 국가들과 북한의 발전실상을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과거부터 인류는 하늘에 떠 있는 달을 관찰하기를 그치지 않았으며, 1609년에는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최초로 망원경을 이용해 달을 관측하는 등 계속해서 관측을 해 왔습니다. 그러나 본격적인 달 탐사는 냉전과 함께 시작된 미국과 소련의 우주 경쟁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이렇게 가속된 달 탐사 경쟁은 1969년 미국의 아폴로 계획으로 유인 달착륙을 성공할 때까지 지속되었고, 그 뒤로도 미국과 소련은 달 탐사를 계속하였으나 1976년 소련의 루나 24호를 마지막으로 한동안 달 탐사는 중단되었다. 하지만 1990년 일본이 히텐을 발사하면서 뜸했던 달 탐사는 다시 시작되었고, 그 뒤를 중국의 창어 1호와 인도의 찬드라얀 1호가 이으며 달 탐사가 다시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최초로 달에 도달한 인공 물체는 소련의 루나 2호로, 1959년 9월 13일 달에 충돌하였다. 루나 3호는 1959년 10월 7일 최초로 달의 뒷면을 관측해 사진을 전송하는데 성공했고, 루나 9호는 1966년 2월 3일 최초로 달 표면에 착륙해 사진을 전송하였다. 미국은 경쟁에서 뒤쳐진 것을 만회하기 위해 1961년 유인 달 착륙 계획을 발표하였고, 그 뒤로 서베이어 계획과 루나 오비터 계획을 통해 여러 차례 무인 착륙선과 궤도선을 보냈습니다. 1968년 12월 24일에는 아폴로 8호가 세계 최초로 유인 달 궤도를 도는데 성공하였고,
중국은 달 궤도 비행, 착륙, 귀환의 3단계로 이루어진 달 탐사 계획인 창어 계획을 2003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라 2007년 10월 24일 중국 최초의 달 탐사선인 창어 1호를 발사했고, 2013년 12월 14일에는 아시아 최초의 달 착륙선인 창어 3호가 달 표면에 성공적으로 착륙했다. 2019년 1월 3일에는 창어 4호가 세계 최초로 달 뒷면에 착륙했다.일본은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와 토요타 자동차가 협력하여 달 착륙선을 개발하고 2029년에 무인 탐사선을, 2030년에서 2034년 사이에 유인 탐사선을 보낼 계획이라고 합니다.
대한민국은 앞에서 얘기 드렸지만 지난달에 년에 달 궤도선을 발사하고, 선행 기술이 확보되면 2030년에 달 착륙선을 발사할 예정이다.
이처럼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달 탐사를 비롯한 우주개발에서 패권을 잡기 위한 경쟁을 벌이면서도 매우 효혜적이고 창의적인 협력도 눈부시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주요 선진국들이 공동으로 진행하는 달탐사계획아르테미스 프로젝트입니다. 이 계획은 궁극적으로는 '달에 사람을 보내겠다'라는 것입니다. 계획 자체는 2017년 시작되었고, 2024년 21세기 첫 달 착륙 우주인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아르테미스 1호는 2022년 8월 29일에 발사가 될 예정이고 이 임무에서는 미국의 신형 발사체인 Space Launch System과 Orion 탐사선을 시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미국의 Space Launch System. 줄여서 SLS라고 부르는데요. 우주 발사체로는 지구 저궤도에 130톤을 올릴 수 있다고 하니 1톤 정도를 올리는 북한의 화성-17 로켓트에 비하면 얼마나 큰 차이가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르테미스 3호에서는 유인 달 착륙을 시도할 예정인데요, 점차 인간이 지속적으로 달 거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남한도 2021년 아르테미스 협정에 정식으로 서명을 했고 그것을 통해서 협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북한의 우주개발 현황은 어떨까요? 며칠 전 8월 8일,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제14기 21차회의에서는 수정 보충된 우주개발법이 채택되었다고 합니다. 목적은 우주개발의 기본원칙과 실행절차와 방법 등과 관련한 세부화, 구체화된 규범들이 정비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아쉽지만 우주개발법은 고치고 있으나 우주개발활동실적은 매우 미미합니다. 아시는 것처럼 북한에는 2013년에 설립된 국가우주개발국이 있습니다. 우주발사체 및 인공위성 개발·발사 등 우주개발을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김정은은 2015년 5월 3일에 새로 건설된 국가우주개발국 위성관제종합지휘소를 현지지도 했고, 국가우주개발국은 운반로켓인 ‘광명성호’가 2016년 2월 7일 9시에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발사되어 9분 46초만인 9시 9분 46초에 지구관측위성 ‘광명성‐4호’를 자기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런데 이 위성은 이미 우주 쓰레기가 되어버렸습니다. 한편 북한은 국제우주연맹(IAF)에 국가우주개발국이 가입을 신청해 승인받았지만, 2015년 10월 IAF 제66차 연례총회 최종 심의에서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의 가입 승인 결정이 취소됐습니다.
그 뒤로 북한의 우주개발활동은 거의나 감지되지 않습니다. 대신 군사적 목적의 장거리미사일과 각종 전술용 미사일을 개발하는 데 광분할 뿐 실질적으로 위성을 발사한 사례는 2016년 이후로는 전무합니다.
달탐사를 포함하여 우주개발을 위하여 개별적인 국가경쟁력도 축성하고 또 서로 협력하여 달탐사는 물론, 화성과 그 너머의 우주로 연구를 뻗쳐가고 있는 국제사회의 큰 흐름을 놓고 볼 때, 북한의 우주활동은 너무도 취약하지만 좋은 성과들이 나올 것을 기대해봅니다.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이름
비번
Copyright 2023. All Rights Reserved by (사) NK지식인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