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미사일 발사는 김정은 ‘실책’…김흥광 NK지식인연대 대표-데일리한국 > 언론속의 지식인연대 | 엔케이지식인연대

北미사일 발사는 김정은 ‘실책’…김흥광 NK지식인연대 대표-데일리한국

  • profile_image
    관리
    • 0건
    • 1,831회
    • 16-08-05 21:58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탈북자 지원학교 협박사건 "북한당국 소행은 아닐 듯"
고위급 탈북, 의미 크지만 "한국 오는 게 능사는 아냐"
이정현 기자 | 2016-08-05 16:50:50

 

[데일리한국 이정현 기자] 북한이 안팎으로 심상치 않다. 북한 당국은 7월에 이어 보름 만에 또 다시 미사일을 쐈다. 제 3국에서는 집단·고위급 탈북자가 줄줄이 이어지는 등 여느때 보다 강한 기류변화가 감지된다. 국내에서는 탈북자를 지원하던 학교에서 협박 사건이 터졌다. 북한에서 요즘 무슨 일이 일어나기에 안팎으로 이런 복잡다단한 사안이 동시다발적으로 터지는 것일까.

'데일리한국'은 최근 북한 정세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5일 서울 'NK지식인연대' 사무실에서 김흥광 대표를 만났다.

김흥광 대표는 북한 김책공업대학교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고 함흥에서 대학교수로 재직 중 2004년에 탈북했다. 한국에 정착한지 올해로 12년 째인 김 대표는 지난 2008년 전문직 탈북인을 중심으로 ‘NK지식인연대’를 창립해 현재까지 대표를 맡고 있다.

◇ 북한 미사일 발사 “김정은이 앞당겼을 가능성”

폭염경보가 내려진 이 날, 인터뷰 첫 질문으로 지난 3일 발발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얘기부터 꺼냈다. 김흥광 대표는 놀랄 것 없다는 표정으로 “앞으로도 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표는 “이번 미사일 발사는 단기적인 목표를 이루기 위해 발사한 것이 아니다”라며 “북한은 지금 단거리부터 장거리 미사일 전체에 대한 능력을 키우고 완성해 가는 과정으로, 다음 미사일 발사는 사거리가 더 긴 미사일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발사 횟수가 눈에 띄게 늘고 있는데 도대체 북한에선 어떤 과정을 거쳐 미사일 발사가 결정되고 시행되고 있는지 의문이 들었다. 김 대표는 “북한에서도 관례적으로 본다면 단독 결정을 내리지는 못하게 돼있다”며 “노동당 ‘직속 서기실’이라는 조직을 통해 일단 안건들이 한번 걸러진 후 김정은에게 보고되는 것도 한 예”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그런데 지금 김정은이 ‘독판’을 치고 있다”며 “결정을 내리기 전 사람들을 모아놓고도 정작 ‘미리 준비한 결심을 내놓는 수준’으로 의사 결정을 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현재 북한의 행위는 김정은 개인의 성격과 그의 정세 판단, 가치관과 밀접하게 연결될 수밖에 없다고 김대표는 진단했다.

그는 “김정은 스타일은 장성택 처형에서도 알 수 있듯, 일처리를 철저하게 하고 신념이 매우 강한 편”이라고 밝혔다. 한국의 사드배치 결정 등에 강경한 태도를 보이려는 그의 스타일이 미사일 발사를 앞당겼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대표는 언어적 위협에 그치지 않고 미사일 발사라는 실제 행동으로 옮겨버린 김정은의 이번 결정은 한마디로 '실책'이라고 평가했다.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통해 전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는 점이 오히려 그 자체로 한국에 사드 배치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는 이유를 제공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jhlee20160805121301_X_00_C_1.jpg

  •                        5일 서울 소재 'NK지식인연대' 사무실에서 만난 김흥광 대표
그렇다면 미사일 발사에 대한 북한 내부 특히 일반 주민들의 반응은 어떠할까. 더군다나 이번 미사일 발사가 있기 직전 언론보도를 통해 김정은 정권에서 그동안 미사일 발사에 투입한 비용이 무려 1억 달러로 추산된다는 내용이 드러나지 않았는가. 북한에서도 이런 말이 돌고 있을까.

김 대표의 대답은 부정적이었다. 그는 “북한당국이 이미 오랫동안 ‘미사일을 쏴서 배고픈 게 아니라, 외국 때문에 배를 곪아서 미사일을 쏜다’고 선전해왔다”고 지적하며 “또한 기본적으로 북한은 돈에 대한 환산을 제대로 못한다”고 언급, 북한 내부의 거부감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을 일깨워 주었다.

그는 국제사회에서 보통 미사일 개발에 들어가는 돈보다 북한 당국이 실제 쓰는 비용이 적을 가능성도 언급했다. 그는 “북한에서는 인력비를 거의 ‘제로’로 본다는 점 등을 감안해야 한다"고 지적했다.ㅏ

북한의 특수성을 감안해도 적지 않은 금액이 들텐데, 어디서 비용을 마련하는 것일까. 김 대표는 “북한이 해외에서 1년에 30억~40억 달러의 돈을 벌어들이는데 순수 이익은 15억 달러 정도가 남을 것이라고 본다”며 “대북 제재가 효율적으로 작동해 돈줄을 완전히 차단했을 때는 모르겠지만 지금 갖고 있는 돈만 봐도 5년여는 계속 미사일을 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협박편지, 북한 당국 사주라기엔 “너무 약해”

지난 달 22일 탈북자를 지원하던 학교 교장 앞으로 손도끼와 협박편지가 배달됐다. ‘미국을 찬양하지 말고 반북활동을 하지 말라’는 내용과 “중단하지 않으면 뒷목을 치겠다”는 표현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북한의 사주를 받은 간첩이 벌였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경찰까지 나서서 과잉 추측은 자제했지만 미사일로 무력시위를 하는 북한정권의 이미지와 겹쳐서인지 쉽게 가라앉지 않는 분위기다.

김 대표는 이 사건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북한이 했다기엔 “특이한 상황”이라는 것이 그의 진단이다. 김대표가 이번 편지 사건을 북한정권과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보는 근거는 첫째, 대상이 애매하다. 탈북자 전문학교도 아니고 단지 재학생 중 탈북학생이 몇 년 간 교육을 받아온 곳을 굳이 협박대상으로 삼았어야 했냐는 것이다.

또 다른 근거는 협박편지가 ‘너무 약한’ 표현을 썼다는 점이다. “비판하지 말라? 북한측이 썼다면 더 강하게 쓴다. 그런 ‘서푼짜리’ 해프닝은 안 한다”는 게 김 대표의 판단이다. 그는 한국 내 친북계열이나 반미단체의 “용렬한 행위”일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같은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이라도 하듯 자신이 받은 북한식 표현이 담긴 협박 편지를 공개하기도 했다. '데일리한국'은 그 사본을 입수해 공개한다.

  • jhlee20160805121409_X_00_C_1.jpg
  • 김대표가 제공한 협박편지 사본. 그는 북한말로 '버러지'인 벌레 그림 등을 쓴 협박방식이 북한측 소행으로 의심되는 근거라고 말했다. 모자이크 부분은 그의 요청에 의해 '데일리한국'에서 입수 후 가렸다.
김 대표가 자신 앞으로 발송된 이른바 협박편지를 살펴보니 ‘국민연금’ 등 한국인이 보냈을 것으로 보이는 표현이 발견됐다. 하지만 그는 편지에 사용된 북한식 표현이나 ‘버러지(벌레)’를 그려넣는 등의 표현기술을 볼 때 협박 강도에서 차이가 다르다고 분석했다.

그도 과거 협박편지를 받고 경찰서에 수사 의뢰를 해 본적도 있다고 한다. 김대표는 여러번 협박에 시달린 탓인지 인터뷰 당일에도 개인경호를 받고 있을 정도였다.

요즘들어 탈북행렬이 이어지는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최근 해외노동자들의 집단 탈북과 고위급 관료 탈북이 잇따라 터진 가운데, 중국 북한식당 여종업원들의 집단탈북은 ‘납치’일 수 있다고 북측이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김대표의 답변이 더욱 궁금했다.

김 대표는 “탈북이 아니라는 주장은 탈북을 목격도 안 해 본 사람들이 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는 자신의 탈북 경험을 떠올려본뒤 “남쪽으로 오기 전 한번쯤 고민이 든다. 탈북을 하는 사람들은 나름의 답을 세우고 온 것이다”라고 단언했다.

그렇다면 최근 북한에서 집단탈북에 대한 책임을 물어 관리자들을 총살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는데, 이런 조치는 북한에서도 탈북을 인정하는 것이 아닌지 되물었다.

그는 북한에서 공개 총살을 했다는 사실을 신뢰하지 않았다. “사형까지 할 이유는 없다”며 “정확히 말하면, 북한에서도 요즘엔 그렇게까지 함부로 죽이지 않는다”고 김대표는 자신의 생각을 전했다.

김 대표는 이어 “최근 터진 집단탈북의 내막을 봤을 때 남은 책임자를 죽이지는 않을 것 같다"면서 "처벌은 당연히 받겠지만 사형이 아닌 단순 처벌일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그가 소식통을 통해 파악한 바에 따르면, 북한은 집단탈북 후 보완조치를 취했다고 한다. 해외에 노동자를 파견할 때 소위 보위부의 ‘눈’이라 불리는 감시자를 한 명씩 붙였는데, 이를 두 배로 늘렸다는 것이다. 감시의 눈이 다른 눈을 감시하는 이중감시체제가 된 셈이다.

◇ 고위층 탈북, 바람직하지만 "전문직 탈북인에 '역할' 주어져야"

김대표는 고위층 탈북이 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한명이든 두명이든 숫자가 중요하지는 않다”며 “고위층 탈북은 그 자체로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김대표는 “지금 김정은이 위협 정치를 하면서 처벌의 수위도 높아졌다”며 “자고 깨면 간부가 사라지니 나 자신도 무슨 일을 당할지 의심이 되고 불안해질 수 밖에 없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고위급 인사들 조차 상황인식이 달라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대표는 다만 고위급의 탈북을 무조건 환영할 수는 없는 현실을 지적했다. “한국으로 오는 게 능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입을 뗀 그는 한국에서 ‘역할’이 없는 전문직 출신 탈북자의 사례를 들었다. 과학자 출신 탈북여성이 간병 활동으로 생계를 이어오다 무릎을 다치거나, IT분야 교수가 인터넷 설비 설치기사로 일하는 경우 등 유사한 사연이 줄줄이 이어졌다.

김대표는 “한국에서 탈북자가 어떻게 사는지는 무조건 북한에 소문이 돈다고 보면 틀림없다”고 강조했다. 그의 표정을 보며 ‘탈북 이후’에 대한 대응이나 논의가 절실한 때가 왔다는 예감이 들었다.

댓글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이름
비번
Copyright 2023. All Rights Reserved by (사) NK지식인연대